학사정보

3학년

소방안전공학과 전공 교과목 소개입니다.

3학년 과목명, 소개 정보표
과목명 소개
소방시설점검및설계감리 ( Design and Inspection of Fire Protection Systems ) 소화설비공학과 경보설비공학에서 학습한 시설의 설계, 공사시공, 공사감리, 점검기법에 대해 학습한다. 이 과목과 관련된 소방산업으로는 소방시설설계업/공사업/감리업/점검업이 있다. 이들 소방관련 산업에서 일하기 위해서는 필수적으로 학습해야 할 과목이다.
소방전기설비공학 ( Fire Alarm System Engineering ) 소방전기설비시스템의 해석을 위한 지식을 습득한다. 소방전기설비는 어떤 회로 내에서 장치의 연관성을 밝히는 과정이다. 본 과정에서는 자동 화재 탐지 설비, 방송 설비의 구조 및 작동 원리, 소화 설비의 전기 회로, 시스템의 제어 방법, 방재 설비의 연동 등에 대해서 학습한다.
소방전기시설점검및설계감리 ( Design and Inspection of Fire Alarm Systems ) 소방전기설비공학 학습한 시설의 설계, 공사시공, 공사감리, 점검기법에 대해 학습한다. 이 과목과 관련된 소방산업으로는 소방시설설계업 / 공사업 / 감리업 / 점검업이 있다. 이들 소방관련 산업에서 일하기 위해서는 필수적으로 학습해야 할 과목이다.
소화설비공학 ( Water and Gas based Fire Protection System Engineering ) 스프링클러소화설비, 옥내소화전설비, 옥외소화전설비 등에 수계소화설비에 대한 기준 이해와 구조 및 작동원리, 설계기법을 학습하고, 이산화탄소소화설비, 분말소화설비, 분말소화설비, 할론소화설비 등 가스소화설비에 대한 기준 이해와 구조 및 작동원리, 설계기법 등을 학습한다.
산업안전공학 ( Fire Alarm System Engineering ) 산업안전공학은 작업장 내에서 인간에게 가해질 수 있는 각종 사고를 예방하고 그 파급효과를 최소화하며 스트레스나 상해 등을 감소시키기 위한 학문이다. 각종 산업현장에서의 위험에 관한 지식, 위험감소를 위한 경영상의 책임과 역할 및 정부나 단체의 책임을 학습한다.
소방전기설비실습 ( Fire Protection Electrical Experiments ) 소방전기설비의 응용을 위한 실험 방법을 습득한다. 아날로그 및 디지털 회로(색 저항, IC Chip, Amp 등)를 구성한다. 본 과정에서는 테스터 사용법, 전압계 및 전류계의 연결, 누전 회로 및 경보 시스템의 구성 등을 학습한다.
소방행정법 ( Fire Protection Administration ) 현대국가에서 행정기능이 확대되고 강화됨에 따라 행정부의 기능과 책임이 크게 증가되고 있다. 또한 행정에 대한 국민의 욕구가 다양하게 표출되고 있어 행정기관은 이러한 행정현실과 부단히 관련을 맺고 적응해야 한다. 이와 관련하여 행정의 기초이론, 행정기획, 조직관리, 인사행정, 재무행정, 정책형성, 행정개혁 등 행정의 일반에 대하여 학습한다.
위험물시설공학 ( Facility Engineering for Hazardous Material ) 위험물안전관리법에서 위험물로 규정하고 있는 위험물을 저장 또는 취급하는 시설 및 장소에 관하여 위험물질의 위험도에 따른 시설기준 및 기본설계이론을 습득한다. 정전기 제거설비, 위험물취급탱크, 각종 안전장치 등에 관한 설비내용이 포함된다. 위험물제조소의 위치, 구조 및 설비에 관한 컨설턴트 및 설계도면 작성 능력 배양을 목적으로 한다.
전기안전공학 ( Electrical Safety Engineering ) 전기안전의 개념 해석을 위한 기본적인 지식을 학습한다. 본 과정에서는 감전 사고의 예방, 전기설비의 작업 안전, 전기화재 예방, 정전기 재해 및 예방, 자동화 설비의 안전 등에 대해서 학습한다.
화재역학 ( Fire Dynamics ) 발화점, 인화점, 예혼합화염과 확산화염, 화재플륨(plume), 플래쉬오버(flashover) 등 발화과정에서부터 화재의 최성기까지의 화재성장 메커니즘을 연소공학과 열전달 개념 등을 통해 이론적으로 학습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