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광여가론
( Tourism & Leisure Management )
|
현대 사회에 다양하게 영향을 미치고 있는 여가의 기능과 역할을 연구하고 이를 이해함으로써 인간이 추구하는 삶의 질적인 향상을 관광과 여가의 측면에서 이해하고자 한다.
|
관광프레젠테이션세미나
( Tourism presentation seminar )
|
전공 지식 및 커리어를 바탕으로 포트폴리오를 작성하고 이를 통해 자신에게 맞는 진로를 찾을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전문적인 관광 인력을 양성한다.
|
관광학연구방법론
( Tourism Research Methodology )
|
관광 정보에 관한 이론적인 고찰을 함과 동시에 이를 응용할 수 있는 자료처리 및 분석에 사용되는 소프트웨어를 고찰하고, 실습을 하여 관광 실무에서 나타날 수 있는 제반 문제들에 대한 응용능력을 습득한다.
|
국외여행인솔실무론
( Tour Conductor Exercise )
|
국외여행인솔자에 대한 중요성과 이해를 증진시키고 이와 관련한 TC의 총체적인 실무를 익힘으로서 향후 자질 있는 전문적인 국외여행인솔자를 양성함을 목적으로 한다.
|
디지털실감형MICE산업론
( Digital Immersive MICE industry theory )
|
마이스산업의개념에서, '마이스(MICE)'는 회의(Meeting)·포상관광(Incentives)·컨벤션(Convention)·전시(Exhibition)의 앞 글자를 딴 용어로 이들 분야를 통틀어 포괄적으로 지칭하는 서비스 산업을 말한다. 본 강의는 전통적인 마이스산업과 현재 산업 전반에 걸쳐 새로운 트렌드로 급부상한 '메타버스(Metaverse)'와 '인공지능(AI)' 등 첨단 기술을 마이스산업과 접목하여 마이스산업론의 디지털 가능성을 배우고 체험하는 수업임.
|
문화관광종합설계
( Comprehensive Design of Culture Toruism )
|
문화관광의 현황을 파악하여 문제점을 개선하고 새로운 문화관광 상품을 제시한다.
|
문화관광캡스톤디자인
( Capstone Design of Culture Tourism )
|
문화관광 전반에 대한 기획력과 문제해결 능력을 극대화한다.
|
산업체실무실습Ⅲ
( Field Experience Ⅲ )
|
학부에서 배운 이론과 지식을 바탕으로 관계기관 및 기업체 혹은 관광이벤트 현장에서 이론의 응용 및 수행능력을 기른다.
|
산업체실무실습Ⅳ
( Field Experience Ⅳ )
|
학부에서 배운 이론과 지식을 바탕으로 관계기관 및 기업체 혹은 관광이벤트 현장에서 이론의 응용 및 수행능력을 기른다.
|
이미지경영과커뮤니케이션
( Image Management and Communication )
|
관광산업 및 환대 산업에 종사할 서비스인들의 이미지관리 및 소통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교과목.
또한 면접 커뮤니케이션을 습득하여 전달력 있는 커뮤니케이션 역량 강화할 수 있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