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사정보

2학년

소방안전공학과 전공 교과목 소개입니다.

2학년 과목명, 소개 정보표
과목명 소개
소방유체역학 ( Fire Protection Fluid Mechanics ) 소화설비와 관련된 유체역학의 기본이론을 숙지하고, 유체역학을 응용하여 소화설비의 설계 및 평가를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는 능력을 함양한다. 유체의 성질과 특성을 이해하며 유체의 유동현상, 유체의 운동방정식, 운동량 전달 등의 일반적인 원리와 법칙을 학습하며 소방방재공학 및 안전설비장치에 적용되는 유체역학에 관한 이론을 중점적으로 다룬다.
소방전기회로 ( Fire Protection Electric Circuit ) 본 과정에서는 건축물에 설치된 소방전기회로의 원리, 관련 법칙, 회로의 구성 및 해석 방법 등에 대해서 학습한다. 본 과정에서는 전기회로의 기초, 저항회로의 해석, 회로의 연결, 회로망의 정리, 축전지(콘덴서), 정현파 교류회로, 코일(인덕터), 기본소자와 페이저, 교류전력과 에너지, 3상 회로, 제어 회로, 전자회로의 기초, 디지털 회로 등에 대해서 학습한다.
소화약제화학 ( Fire Protection Extinguishing agents ) 소화약제의 화학적, 물리적 성질에 관한 기본 이론을 습득하여 소화약제가 소화작용에 미치는 영향 및 원리를 이해함으로써, 소화 약제의 적절한 사용 방법을 익힌다. 소화약제의 종류, 특성, 소화 적응성, 소화 원리, 제조법 등과 더불어 이들의 저장용기, 축압용 장치 등에 관한 제조 및 취급기준 등을 다룬다.
열전달 ( Heat and Mass Transfer ) 물질의 열적성질과 열역학의 기본법칙을 학습하고, 연소과정에서 발생하는 열전달(전도, 대류, 복사)과 물질의 이동에 대해 학습한다. 화재역학을 학습하는데 기초가 되는 학문이다.
위험물질론 ( Theories of Hazardous Chemicals ) 위험물안전관리법에서 위험물로 규정하고 있는 인화성, 발화성을 가진 위험물질의 일반적 성질, 화재예방, 소화방법 및 취급방법 등을 학습한다. 화재, 폭발을 유발하는 가연, 인화, 산화, 자기반응성 물질 및 독성 유해화학물질 등 위험물에 대하여 이들 종류별 용도, 성상, 위험성, 저장 및 취급방법, 관련법규등을 이론적 지식을 습득한다.
전기공학개론 ( Introduction of Electric Engineering ) 본 과정에서는 건축물에 설치된 소방전기설비의 원리, 관련 법칙, 회로의 구성 및 해석 방법 등에 대해서 학습한다. 본 과정에서는 정전계, 자기의 현상 및 법칙, 회로망의 정리, 교류 전력과 에너지, 공진 회로, 3상 회로, 대칭좌표법 및 응용, 비정현파 교류회로, 직류기, 유도 전동기, 전자회로의 기초, 연산 증폭기, 증폭 회로, 조합 논리 회로, 메모리와 프로그램 가능한 논리 소자 등에 대해서 학습한다.
소방관계법규 ( Fire Protection Code ) 소방관련 법령의 학습을 통하여 소방행정의 범위와 역할을 학습하도록 한다. 소방관련 법규로는 소방공무원법, 소방기본법, 소방시설설치유지 및 안전관리에 관한 법률, 소방시설공사업법, 다중이용업소의 안전관리에 관한 특별법, 위험물안전관리법, 의무소방대설치법 등이 있다.
소방학개론 ( Fire Safety Theory ) 전반적인 소방의 이해와 원론적인 내용을 통하여 소방의 전문 기술과 실무적응성 향상을 습득함. 소방학을 총론과 각론으로 구분하여 총론에서는 소방의개념과 소방행정의 특수성등을 다루고 소방의 역사를 통해 소방의 뿌리를 규명하고 소방조직을 통해 소방이 역할을 이해하고 소방의근간이 되는 관련 법령을 그 범위로 한다. 각론에서는 소방실무에 필요한 기술과 이론을 통하여 소방법규에서 정한 소방의 주요업무인 화재예방·경계, 진압, 구조·구급 및 재난관리의 방법론을 습득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