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학수학Ⅰ
( Engineering MathematicsⅠ )
|
미분적분학을 기초로 한 각종 미분방정식의 해법에 초점을 맞추어 공학적으로 문제해결 및 모델링 능력을 배양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미분방정식의 해법에서 벡터해석까지를 학습한다.
|
공학수학Ⅱ
( Engineering MathematicsⅡ )
|
미분방정식의 해법, 라플라스 변환, 복소변수 함수론, 그리고 푸리에 급수에 대해 배우는데 이 과목은 실제 전기기기에서 나타나는 수학적인 문제를 다룬다.
|
기초설계
( Basic Design Engineering )
|
앞으로 배울 교과목에서 설계에 대한 중요성을 습득한다. 간단한 회로나 실험을 ?하여 설계란 무엇이며, 설계 방법에는 어떠한 것들이 있는지 알아본다. 실험 및 시제품 제작을 통하여 설계의 중요성을 알도록 한다.
|
전기자기학(1)
( Electromagnetics(1) )
|
정전계 및 정자계에 대한 이해를 목표로 한다. 전계의 세기, 전속밀도, 전위 등의 기본 성질을 가우스의 법칙, 발산의 법칙을 통하여 이해한다. 도체 및 절연체의 성질을 이해하고 유전체, 정전용량을 도입한다.
|
전기전자실험
( Electrical Engineering Lab. )
|
전기전자 전공에서 필수적인 전기전자 회로의 실험을 실시하면서 각종 계측 장비들의 디지털 사용법을 익힌다. 각종 실험에 사용되는 전원공급기, 측정 계기 및 부품들을 실제적으로 능숙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
회로이론(1)
( Circuit Theory(1) )
|
전기, 전자, 정보통신, 전자물리 전공 학생들의 기초 과목으로 회로소자인 저항, 인덕터, 커패시터를 비롯하여, 이들 소자로 이루어진 회로의 해석 방법에 대하여 배운다. 회로 내에서 전압 전류의 방정식을 푸는 방법과 각 회로 소자에서의 전력을 계산하는 법을 배운다
|
디지털공학
( Digital Electronics )
|
부울대수, 기본게이트, 조합 논리회로의 간략화 및 설계 방법을 공부한다. 또한 플립플롭, 레지스터, 카운터 등 순차 논리회로을 이해하고 멀티플렉서, 레지스터, A/D, D/A 변환에 대해 배운다. 회로 시뮬레이션 및 프로젝트를 통해 독자적인 회로 설계 과정을 체험한다.
|
반도체공학
( Semiconductor Engineering )
|
반도체 소자의 특성과 동작 및 한계를 이해하는 데 필요한 기본지식을 배운다. 양자역학의 기초와 고체의 양자이론에 대하여 배운 후, PN 접합 다이오드, 바이폴러 트랜지스터, MOSFET의 구조와 동작원리에 대하여 배운다.
|
전기자기학(2)
( Electromagnetics(2) )
|
쿨롱의 법칙, 전계 및 전속밀도의 개념 및 가우스의 법칙을 이해하고, 전계 내에 축적되는 에너 지, 전위, 유전체내의 전속밀도 및 콘덴서의 정전용량을 구하는 방법 등을 강의한다.
|
전기전자기초실험
( Electrical Engineering Basic Lab. )
|
전기전자 전공에서 필수적인 전기전자회로의 기초실험을 실시한다. 각종 계측장비들의 사용법을 숙지하고, 테브난 등가회로, 중첩의 원리 등 회로이론을 기초한 실험을 하며 저항, 커패시터, 인덕터, 다이오드, 등에 대하여 특성을 실험한다. 이와 함께 회로분석을 위한 Pspice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실험한다.
|
회로이론(2)
( Circuit Theory(2) )
|
전기, 전자, 정보통신, 전자물리 전공 학생들의 기초 과목으로 스위치 동작 후의 과도상태 해석과 Laplace Transform을 배우며, 유도결합회로와 삼상회로에 대하여 배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