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공
-
홈페이지
전화번호
소속
문화관광대학 패션산업학과
연구실
지역혁신관 724호
서대전여자고등학교(1989) 서울대학교 의류학 학사(1993) 서울대학교 의류학 석사(1995) 서울대학교 의류학 박사(2005)
문화관광대학 패션산업학과 교수(2005.3 ~ 현재) 전주대학교 입학처장 (2020.02~2024.01) 창업지원단장 (2018.09~ 2020.01) 문화관광대학 패션산업학과 학과장 (2017. 3 ~2018.08) 창업지원단 창업확산센타장(2015.3 ~ 2018.08) 문화관광대학 패션산업전공 주임교수(2007.3 ~ 2009.2)
Mongolia International University. Guest Lecturer for Summer Intensive Course (2015.07) University of North Carolina at Greensboro. USA 방문교수 (2013.8-2014.8) 한국연구재단 대학연구인력국제교류지원사업 선정(2013) 학술진흥재단 대학교육과정 개발 책임연구원(2008.10 ~ 2009.9) 충남대, 목포대학교 강사(2000.3 ~ 2005.2) LG화학 생활건강연구소 연구원(1995.1 ~ 1999.7)
LG전자 어플라이언스 연구소 기술자문위원 (2017~현재) 한국의류산업학회 학술이사 (2017~현재) 한국의류학회 편집위원 (2013~2015) (사)전주패션협회 이사(2008.1 ~ 현재) (주)LG 전자 섬유건조기 부문 산학연구용역수행 (2015.1~현재) 여성부 지역사회맞춤형 청년여성 취업지원사업 한스타일패션리테일러양성교육-운영(2009.6 ~ 7) (사) 한국니트산업연구원 RIS사업 닥나무섬유 제품 마케팅 용역 연구(2007.11 ~ 2008.3) 롯데백화점 샵매니저 패션전문가 위탁교육 (2006.7 ~ 2006.11) 드럼세탁기용 세제 개발 용역 연구 (LG생활건강, 서울대 공동), (2004,3 ~ 2005.2)
의류감성공학 - 의류 감성인지평가 - 의류소재 성능평가 의류세탁관리 텍스타일디자인 - 니트 설계 및 디자인 염색 및 가공 - 천연염색 및 물질 적용 평가
패션 소재 기획, 섬유 재료학, 니트 디자인, 염색 디자인
<주요논문 및 학회지> Analysis of Washing Needs of Consumers Using Text Mining : Focusing on Q&A from Naver's Knowledge-in. Korean Journal of Human Ecology, 2023. 32(5), 609-620, Shrinkage of knitted fabric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Air Drying. Korean Journal of Clothing and Textiles. 2017, 41(6), 1050-1059. US consumers’ subjective hand, sensibility, and preference for textile products made of bast fiber, The Journal of The Textile Institute (SCIE), 2016, Vol. 107, No. 12, 1554?1564 Methods to improve infant clothing made with Hanji yarn - Investigating the image of Hanji and Hanji yarn infant clothing ,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Vol. 21, No. 1 pp.57~65, February 2013 침구 쇼핑성향에 따른 한지 침구류 이미지 평가에 관한 연구, ,『한국의류학회지』제37권 2호, 2013, pp.174-185 의류소재 교과내용의 패션산업 실무 활용에 관한 연구-, ,『한국의류학회지』제36권 4호, 2012, pp.432-442 의류학 분야 대학교육내용의 산업 실무 활용에 관한 연구 -의류소재 관련 교과목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의류학회지』제35권 3호, 2011, pp. 325-335 웰빙 라이프 스타일 관심과 한지 섬유 이미지 지각의 상관관계 연구,『한국생활과학회지』제19권 2호, 2010, pp.389-398 닥섬유 양말 제품에 대한 소비자 만족도 조사 연구,『한국의류학회지』제33권 5호, 2009, pp.752-763 니트소재의 영상정보 제시 방법에 따른 주관적 질감 비교,『한국의류학회지』제32권 5호, 2008, pp.800-807 드럼세탁기용 세제특성에 따른 세탁포이 주관적 태 평가 및 선호도에 관한 연구, ,『한국의류학회지』제31권 1호, 2007, pp.57-67 A study in subjective assessment of knit fabric by ANFIS. Fibers and polymers(SCIE), Vol.7 No.2, 2006, pp.203-212 니트소재의 주관적 질감 및 감성과 객관적 태에 관한 연구, ,『한국의류학회지』제30권 1호, 2006, pp.83-93 위편성 니트소재의 선호도에 관한 연구, ,『한국생활과학회지』제14권 4호, 2005, pp.665-671 니트소재의 구성특성과 주관적 질감 및 감성의 관계 ,『한국의류학회지』제29권 8호, 2005, pp.1158-1167 <연구프로젝트> 의류관리기기 사용에 따른 수축 등 의류변형에 대한 소비자 인지 및 수용만족도 조사 (2023.08~2024.07) Styler 코스 최적화 및 특화 코스 제안을 위한 관리대상 의류와 소비자 Segment별 요구품질 분석. LG전자. (2021.09.13. ~ 2022.08.12) 의류시장의 소재특성 빅데이터 분석과 관리방법 제안을 위한 기초연구. LG전자. (2019.11~2020.11) 세탁분야의 기초기술연구 3차년도. LG전자. (2019.9~2020.9) 소비자가 인지하는 의류소재 변화의 주요인과 손상 메커니즘 규명. LG전자. (2018.05-2019.03) 세탁분야의 기초기술연구 2차년도. LG전자. (2018.3~2019.3) 스타일러 Light Cleaning Solution의 소비자 Benefit 및 개선안 도출. LG전자. (2017.04~10) 세탁분야의 기초기술연구 1차년도. LG전자. (2017.3~2018.3) 의류소재 감각특성에 대한 평가방법 표준화 . LG전자. (2016.03~10) 세탁 및 건조 시 의류물성 변화 연구. LG전자. (2015.01~06) 천연 인피섬유를 활용한 의류소재에 대한 한국과 미국 소비자 인식 및 이미지 평가. 한국연구재단 (2013.07~2014.08) 마케팅 활성화를 위한 닥섬유 유아복 소비자 실태조사, 한국니트산업연구원, 2011.11~2012.01 마케팅활성화를 위한 생활용 닥섬유제품 소비자 실태조사, 한국니트산업연구원, (2010.11.18 ~ 2011.4.9) 학습 효율 향상과 산업 현장 수요에 맞춘 의류소재 설계에 관한 교수 자료 및 교수법 개발, 한국학술진흥재단 (2008.10.1 ~ 2009.9.30)